본문 바로가기

잡학다식

수도권 지하철 역 (1호선, 2호선, 3호선, 4호선, 5호선, 6호선, 7호선)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 정리

by 인천망둥어 2024. 6. 25.
반응형

수도권 지하철 역(1호선, 2호선, 3호선, 4호선, 5호선, 6호선, 7호선)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 정리

지하철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 중에는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. 출퇴근 시간이나 긴 여정을 위해 이러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으면 큰 도움이 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수도권 지하철 1호선부터 7호선까지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모든 역을 정리해보았습니다.

목차

 

 

 

 

 

1호선,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

1호선의 경우 여러 역에서 개찰구 내에 화장실을 찾을 수 있습니다. 이 역들은 출퇴근 시 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역들로, 특히 화장실 이용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. 역별 화장실 위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망월사역 - 개찰구 내 화장실 위치는 1번 출구 방향.
  • 월계역 - 개찰구 통과 후 우측에 위치.
  • 종로3가역 - 환승 통로 내에 화장실이 있습니다.
  • 신도림역 - 개찰구를 나가서 바로 앞에 위치.
  • 성균관대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도봉산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석계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시청역 - 개찰구 내 4번 출구 방향.
  • 구로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화서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도봉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신이문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서울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석수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수원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방학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외대앞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남영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관악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구일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창동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동묘앞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용산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명학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간석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녹천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동대문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영등포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금정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주안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
 

 

 

2호선,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

2호선은 서울의 주요한 순환선으로, 많은 역에서 화장실을 찾을 수 있습니다. 다음은 개찰구 내 화장실이 있는 역과 그 위치입니다.

  • 시청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구의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구로디지털단지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양천구청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을지로3가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역삼역 - 개찰구 내 4번 출구 방향.
  • 대림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신답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강남역 - 개찰구 내 5번 출구 방향.
  • 신도림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용두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왕십리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봉천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영등포구청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건대입구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신림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당산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
 

3호선,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

3호선은 서울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주요 노선으로, 개찰구 내 화장실이 있는 역을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. 다음은 이러한 역들의 목록과 화장실 위치입니다.

  • 지축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종로3가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약수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도곡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경찰병원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연신내역 - 개찰구 내 4번 출구 방향.
  • 을지로3가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금호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대치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오금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무악재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충무로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옥수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대청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독립문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동대입구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잠원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수서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경복궁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약수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양재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
 

 

 

4호선,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

4호선 역시 많은 승객이 이용하는 노선으로, 개찰구 내 화장실을 제공하는 역이 많습니다. 다음은 이러한 역들과 화장실 위치입니다.

  • 상계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명동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이수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한대앞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노원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회현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사당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중앙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창동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서울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남태령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고잔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동대문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숙대입구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과천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초지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이촌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정부과천청사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충무로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동장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금정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
 

 

 

 

5호선,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

5호선은 서울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중요한 노선입니다. 개찰구 내 화장실을 제공하는 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김포공항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종로3가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신정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양평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왕십리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영등포구청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오금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여의도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
 

 

6호선,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

6호선은 서울의 북부 지역을 순환하는 노선입니다. 개찰구 내 화장실을 제공하는 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불광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신당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안암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디지털미디어시티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동묘앞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고려대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한강진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창신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석계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약수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보문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
 

 

7호선,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

7호선은 서울의 동서를 잇는 주요 노선입니다. 개찰구 내 화장실을 제공하는 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도봉산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이수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노원역 - 개찰구 내 3번 출구 방향.
  • 남성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상봉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대림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건대입구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  • 부천종합운동장역 - 개찰구 내 중앙에 위치.
  • 뚝섬유원지역 - 개찰구 내 2번 출구 방향.
  • 부평구청역 - 개찰구 내 1번 출구 방향.

 

 

결론

이렇게 수도권 지하철 1호선부터 7호선까지 개찰구 내에 화장실이 있는 역들을 모두 정리해 보았습니다. 이러한 정보는 출퇴근 시간이나 긴 여정을 위해 큰 도움이 됩니다. 화장실 위치를 미리 알고 있으면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. 여행을 계획할 때나 일상적인 통근 시에도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랍니다.

반응형